맨위로가기

존 번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번연은 1628년 영국에서 태어나 대장장이로 일하며 청교도 혁명에 참여했다. 그는 침례교 신자가 되어 복음 전도 활동을 했으며, 비밀집회 혐의로 12년간 투옥되었다. 옥중에서 자서전 《은총이 넘침》과 우화 소설 《천로역정》을 집필했는데, 《천로역정》은 기독교인의 천국을 향한 여정을 그린 작품으로,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종교 서적이다. 그는 간결한 문체로 종교적 진리를 전달하는 작가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은 한국 개신교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존 번연은 1628년 영국 베드퍼드셔주 엘스토우에서 태어나 대장장이로 일하며 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청교도 혁명에 의회군으로 참전했고, 동료의 전사를 보며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했다. 신앙이 없던 그는 청교도인 메리와 결혼 후 개신교 신자가 되었고, 존 폭스의 《폭스의 순교사》 등을 읽으며 로마 가톨릭교회를 증오하고 예수에게 충성하기로 다짐했다. 1653년 베드포드 침례교회 신자가 된 후, '번연 주교'라 불릴 정도로 복음 전도에 힘썼다.

찰스 2세는 영국 성공회 외 다른 기독교 교파들을 탄압했기 때문에, 번연은 비밀집회 혐의로 12년간 투옥되었다. 그는 옥중에서 자서전 《은총이 넘침》과 대표작 《천로역정》 1부를 썼다. 《천로역정》 2부는 6년 뒤인 1684년에 완성되었는데, 간결하고 소박한 문체로 쓰여 종교 문학이자 영국 소설 발달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672년 찰스 2세의 관용령으로 석방된 후 베드퍼드 교회 목사가 되었다. 1675년 3월, 전도죄로 다시 체포되어 6개월간 투옥되었으나, 이후 높은 명성으로 다시 체포되는 일은 없었다. 1688년 런던으로 가던 중 감기로 인해 친구 집에서 사망했고, 런던 번힐 묘지에 묻혔다. 그는 유고로 출판된 《적그리스도와 그의 몰락》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적그리스도의 교회로 묘사하고, 적그리스도의 몰락을 예언했다.[56]

2. 1. 초기 생애와 청교도 혁명 참전

1628년 영국 베드퍼드셔주 엘스토우에서 대장장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겨우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의 직업을 도왔다.[52] 1644년부터 1647년까지 청교도 혁명에 의회군으로 참전했는데, 이때 동료의 전사를 목격하며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10] 군 복무는 그에게 군사 용어에 대한 지식을 제공했고, 다양한 종교 종파와 급진적인 집단의 사상에도 노출시켰다.[10]

그의 자서전 ''은혜가 넘치는 곳''에서는 젊은 시절 방탕한 삶을 살았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그가 구체적으로 언급한 유일한 중대한 악행은 신성 모독이며, 그 외에는 오락으로 춤을 추고 교회 종을 울린 정도이다. 그는 "용서받지 못할 죄"에 대한 호기심에 시달렸고, 이미 그 죄를 저질렀다는 환상에 사로잡히기도 했다. 그는 여러 번 "그리스도를 팔라"는 목소리가 들리고, 무서운 환각에 시달렸다. 극심한 정신적 갈등 끝에 그는 그 상태에서 벗어나 열정적이고 굳건한 신앙인이 되었다.[14]

2. 2. 결혼과 회심

번연은 1649년경 청교도 여성 메리와 결혼했다. 메리는 결혼 지참금으로 존 폭스의 《폭스의 순교사》 등 청교도 서적들을 가져왔는데, 이를 통해 번연은 로마 가톨릭교회를 증오하고 예수 그리스도에게 충성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53] 그는 1653년 베드포드 침례교회에서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1655년 아내가 사망하자 번연은 베드퍼드로 이주했다. 1659년, 그는 엘리자베스와 재혼했다.[20]

2. 3. 복음 전도와 투옥

번연은 1653년 베드포드 침례교회 신자가 된 후, '번연 주교'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열정적인 복음 전도자로서 설교 활동을 했다.[53] 그는 베드퍼드 자유 교회(Bedford Meeting)에서 설교하기 시작했으며,[18] 퀘이커교와의 논쟁에서 영감을 받아 1656년 첫 번째 책인 《열린 복음 진리》(Gospel Truths Opened)를 출판했다.[19]

그러나 당시 국왕 찰스 2세는 영국 성공회 외의 기독교 교파들을 탄압했기 때문에,[54] 번연은 비밀 집회(허가 없이 복음을 전한) 혐의로 1660년 체포되어 12년 동안 투옥되었다.[54]

그는 감옥에서 자서전 《은총이 넘침》과 대표작 《천로역정》 1부를 썼다.[55]

2. 4. 석방 이후와 죽음

1672년 찰스 2세의 관용령으로 번연은 석방되었다.[55] 그 달, 베드퍼드 교회의 목사가 되었다. 1675년 3월, 전도죄로 다시 체포되었는데, 이는 찰스 2세가 관용령을 철회했기 때문이다. 우스 강에 있는 돌다리 위 감옥에 투옥되었으나,[55] 6개월 만에 석방되었고, 이후 그의 높은 명성 때문에 다시 체포되는 일은 없었다.[55]

1688년 런던으로 가던 중 비에 젖어 심한 감기에 걸렸고, 스노우힐에 있는 친구의 집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55] 그의 묘는 런던의 번힐 묘지에 있다.

3. 주요 작품

존 번연은 60권이 넘는 책과 소책자를 썼다.[38]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천로역정》 : 캐나다 선교사이자 장로교 목사인 게일에 의해 한국에 소개되었으며, 가평 필그림하우스에는 천로역정 순례길 코스가 있다.
  • 《죄인의 괴수에게 넘치는 은혜》 (Grace Abounding to the Chief of Sinners영어) : 1666년 출간된 영적 자서전이다.
  • 《거룩한 전쟁》 (The Holy War영어): 1682년 출간.
  • 《악인 바드맨의 생애와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Mr. Badman영어): 1680년 출간.
  • 《적그리스도와 그의 멸망》 (Antichrist and Her Ruin영어): 1692년 출간.
  • Come and Welcome to Jesus Christ영어: 1678년 출간.


1656년 첫 작품인 ''몇 가지 복음 진리의 개방''(당시 구분이 다소 모호했던 랜터와 퀘이커에 반대하는 소책자)을 출판한 이후부터 1688년 사망할 때까지 번연은 총 42편의 작품을 출판했다. 그의 마지막 설교를 포함한 두 편의 작품은 그 다음 해 조지 라킨에 의해 출판되었다. 1692년 번연의 친구였던 찰스 도는 번연의 미망인과 협력하여 12편의 미출판 작품(대부분 설교)을 포함한 저자의 작품집을 출판했다. 6년 후 도는 ''천상의 주자''를 출판했고, 1765년 ''나의 투옥 관계''가 출판되어 총 58편의 작품이 출판되었다.[38]

3. 1. 《천로역정》

천로역정》(The Pilgrim's Progress, 1678년 1부, 1684년 2부)은 존 번연의 대표작으로, 주인공 크리스천이 멸망의 도시를 떠나 천국 도시에 이르는 여정을 그린 우화 소설이다.[38] 이 작품은 출간 즉시 큰 인기를 얻었으며,[32]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종교 서적으로 알려져 있다.

''천로역정'' 초판 1678년


번연이 《천로역정》에서 사용한 이미지들은 그의 세계를 반영한다. 좁은 문은 엘스토 수도원 교회의 작은 문의 한 형태이고, 절망의 수렁은 해로든에 있는 그의 오두막 근처의 습하고 이끼 낀 지역인 스퀴치 펜을 반영한다. 즐거운 산들은 베드퍼드셔 주변의 칠턴 힐스를 반영한다.[38]

《천로역정》은 프로테스탄트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읽힌 종교 서적 중 하나이며, 매우 많은 언어로 번역되었다. 프로테스탄트 선교단은 성경 다음으로 《천로역정》을 가장 우선적으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국에서는 캐나다 선교사이자 장로교 목사인 게일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가평 필그림하우스에는 천로역정 순례길 코스가 있다.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번역자제목출판사출판 연도
사토 기호(佐藤喜峰) (실제 번역: 무라카미 슌키치(村上俊吉))의역 천로역정(意訳 天路歴程)십자야서포(十字屋書舗)1879년
윌리엄 존 화이트(William John White) (실제 번역: 마쓰무라 케이세키(松村介石))천로역정(天路歴程)런던성교서류회사(倫敦聖教書類会社)1886년
햐쿠시마 레이센(百島冷泉)천로역정(天路歴程)나이가이슈판쿄카이(内外出版協会)1907년
이케 쿄우키치(池亨吉)천로역정(天路歴程)기독교서류회사(基督教書類会社)1911년
사이토 토시오(斎藤敏夫)천로역정 이야기(天路歴程物語)니치요세카이샤(日曜世界社)1925년
누죠 히사에(布上荘衛)천로역정(天路歴程)에이분가쿠샤(英文学社)1928년
마스모토 시게오(益本重雄)전역 천로역정(全訳 天路歴程)타이요도(太陽堂)1929년
아오야 세이큐(青芳勝久)순례의 여정(巡礼の旅)기독교서류회사(基督教書類会社)1931년
오카다 아키타쓰(岡田明達)천로역정(天路歴程)가이 고켄큐샤(外語研究社)1934년
마쓰모토 운슈(松本雲舟)전역 천로역정(全訳 天路歴程)경성사(警醒社)1934년
오노 타케오(小野武雄)천로역정 전편(天路歴程 正編)나가사키쇼텐(長崎書店)1938년
오오쿠보 야스오(大久保康雄)천로역정(天路歴程)가자마쇼보(風間書房)1949년
이토 타카마로(伊藤貴麿)천로역정(天路歴程)도와 슌슈샤(童話春秋社)1949년
타케토모 모후(竹友藻風)천로역정(전2권)(天路歴程(全2巻))이와나미분코(岩波文庫)1951년
가나자와 츠네오(金澤常雄)초역 천로역정(抄訳 天路歴程)산이치쇼텐(三一書店)1951년
오자키 야스시(尾崎安)크리스천 여행기 번연의 천로역정(クリスチャン旅行記 バンヤンの天路歴程)요르단샤(ヨルダン社)1953년
후쿠요 마사하루(福與正治)천로역정 연구사 신역주쌍서(天路歴程 研究社新訳注双書)켄큐샤(研究社)1955년
이즈미다 사카에(泉田栄)순례자의 여정(巡礼者の旅)호겐쇼보(朋玄書房)1977년
야규 나오유키(柳生直行)천국의 도시를 향하여 천로역정 소년판(天の都をさして 『天路歴程』少年版)스구쇼보(すぐ書房)1980년
세키네 붕노스케(関根文之助)천로역정 빛을 구하는 마음의 여정(天路歴程 光を求める心の旅路)쇼가쿠칸(小学館)1981년
이케야 토시오(池谷敏雄)천로역정 전편(天路歴程 正篇)신쿄출판사(新教出版社)1985년
이케야 토시오(池谷敏雄)천로역정 속편(天路歴程 続篇)신쿄출판사(新教出版社)1985년
나카무라 타에코(中村妙子)위험한 여행 천로역정 이야기(危険な旅 天路歴程ものがたり)신쿄출판사(新教出版社)1987년
시마다 후쿠야스(島田福安)천국으로 가는 여행(天国への旅)이노치노코토바샤(いのちのことば社)1989년



쇼와 천황의 1946년 1월 1일 칙령(인간선언)에는 "우리 국민은 움직이기만 하면 초조해지고, '''절망의 구렁에 빠지려''' 하는 경향이 있다"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영어로 작성한 시데하라 기쥬로 수상이 "the Slough of Despond"라고 쓴 것을 일본어로 번역한 것으로, 《천로역정》 1부의 한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3. 2. 《죄인의 괴수에게 넘치는 은혜》

《Grace Abounding to the Chief of Sinners영어》는 1666년에 출판된 존 번연의 영적 자서전이다.[38] 번연은 이 책에서 자신의 죄와 회심, 그리고 신앙적 성장을 진솔하게 기록했다. 그는 이 책을 쓴 동기가 기독교의 용서 개념을 명확하게 찬양하고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38]

이 책은 매우 상세하며, 번연 자신의 모든 것이 기록되어 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제목들이다.

번역자번역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마쓰모토 운슈(松本雲舟)은혜 넘치는 기록(恩寵溢る丶の記)경성사(警醒社)1912년
아게나가 켄조(畔上賢造)은혜 넘치는 기록(恩恵溢る)고야마도쇼텐(向山堂書店)1929년
마스모토 시게오(益本重雄)악인의 삶과 죽음 - 은혜 넘치는 기록(悪人の生と死・恩寵溢るゝ記)타이요도쇼텐(太陽堂書店)1930년
아오야 세이큐(青芳勝久)넘치는 은혜(溢るゝ恩恵)기독교서류회사(基督教書類会社)1930년
오노 타케오(小野武雄)죄인의 우두머리에게 넘치는 은혜(罪人等の首長に恩寵溢る)나가사키쇼텐(長崎書店)1940년


3. 3. 《거룩한 전쟁》

《거룩한 전쟁》(The Holy War, 1682)은 인간 영혼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선과 악의 싸움을 그린 우화 소설이다.[38] 존 번연의 작품 중 인지도 면에서는 《천로역정》에 이어 두 번째로 꼽힌다.[38]

'''번역'''

  • 聖戦|세이센|타카무라 신이치일본어 역, 新教出版社|신쿄슈판샤일본어, 1957년

3. 4. 기타 저서


  • 《거룩한 전쟁》
  • 《악인 바드맨의 생애와 죽음》(The Life and Death of Mr. Badman, 1680)[38]
  • 《적그리스도와 그의 멸망》(Antichrist and Her Ruin, 1692)
  • Come and Welcome to Jesus Christ|컴 앤드 웰컴 투 지저스 크라이스트영어, 1678

4. 한국과의 관계

캐나다 선교사이자 장로교 목사인 제임스 스카스 게일이 존 번연의 《천로역정》을 한국에 소개하였다.[43] 천로역정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어려운 시기를 겪은 한국인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주었으며,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평 필그림하우스에는 천로역정 순례길 코스가 있다.

5. 평가 및 유산

존 번연은 간결하고 소박한 문체로 종교적 진리를 전달하는 능력이 뛰어난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영국 소설 발달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C. S. 루이스, 너새니얼 호손, 허먼 멜빌, 찰스 디킨스, 조지 버나드 쇼 등 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9][47]

18세기에는 번연의 다듬어지지 않은 문체가 인기를 잃었지만, 낭만주의 시대에 그의 인기는 다시 회복되었다. 많은 비평가들은 시인 로버트 사우디가 1830년 《천로역정》 판본에 긴 감상적인 전기를 쓴 것을 번연 연구의 전환점으로 여긴다.[45] 번연의 명성은 복음주의 부흥 운동으로 더욱 높아졌고, 그는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작가가 되었다.[46]

1928년에 거행된 번연 탄생 300주년 기념 행사에서는 그의 예전 적대자였던 영국 성공회에서도 찬사를 보냈다.[47] 20세기 후반에는 번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줄었지만, 학계의 관심은 증가하여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1976년부터 그의 작품의 새 판본을 출판하기 시작했다.[48]

번연의 작품, 특히 《천로역정》은 무대, 영화, TV, 라디오 제작을 통해 더 넓은 독자층에 다가갔다. 랄프 본 윌리엄스가 '도덕극'이라고 언급한 《천로역정》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는 1951년 영국 축제의 일환으로 왕립 오페라 하우스에서 처음 공연되었고, 2012년 잉글리시 내셔널 오페라에 의해 다시 공연되었다.[50]

번연은 영어 책 중 가장 널리 읽히고 성경 이외의 어떤 책보다 많은 언어로 번역된 《천로역정》을 썼다는 명성을 얻고 있다. 폭넓게 사람들의 마음에 호소하는 이 작품의 매력은, 친절함, 유머, 감동적인 어투, 그리고 영어 특유의 표현을 구사하여 작가의 상상력이 등장인물, 사건, 장면을 마치 독자가 알고 있는 현실과 똑같이 만들어내는 이야기의 재미에 있다.

매컬레이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독자들은 모두 저 넓은 길, 좁은 길, 그리고 수없이 오가던 길을 알고 있다."

: "17세기 후반 영국에는 매우 뛰어난 상상력을 가진 마음에는 두 종류밖에 없었다. 하나는 실낙원을 만들어내는 마음, 또 하나는 천로역정을 만들어내는 마음이다."

쇼와 천황의 1946년 1월 1일 칙령(인간선언)에는 "우리 국민은 움직이기만 하면 초조해지고, '''절망의 구렁에 빠지려''' 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영어로 작성한 시데하라 기쥬로 수상이 "the Slough of Despond"라고 쓴 것을 일본어로 번역한 것으로, 《천로역정》 1부의 한 구절을 인용한 표현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2] 서적 Brittain 1950
[3] 서적 Brittain 1950
[4] 서적 Brittain 1950
[5] 서적 Furlong 1975
[6] 서적 Furlong 1975
[7] 서적 Furlong 1975
[8] 서적 Cromwell's Garrison Town of Newport Pagnell Mercury
[9] 서적 Furlong 1975
[10] 서적 Furlong 1975
[11] 서적 Brittain 1950
[12] 서적 Furlong 1975
[13] 서적 Furlong 1975
[14] 서적 Morden 2013
[15] 뉴스 Bell ringing takes its fearsome toll https://www.thetimes[...] 2005-07-04
[16] 서적 Brittain 1950
[17] 서적 Brittain 1950
[18] 서적 Morden 2013
[19] 서적 Brittain 1950
[20] 서적 Furlong 1975
[21] 서적 Morden 2013
[22] 서적 Brittain 1950
[23] 서적 Brittain 1950
[24] 서적 Brittain 1950
[25] 서적 Brittain 1950
[26] 서적 Furlong 1975
[27] 서적 Furlong 1975
[28] 서적 Furlong 1975
[29] 서적 Furlong 1975
[30] 서적 Furlong 1975
[31] 서적 Brittain 1950
[32] 서적 Furlong 1975
[33] 서적 Brittain 1950
[34] 서적 Furlong 1975
[35] 학술지 Walking Home Together: John Bunyan and the Pilgrim Church 2016
[36] 서적 1950
[37] 서적 1975
[38] 서적 2010
[39] 서적 1950
[40] 서적 1950
[41] 서적 1950
[42] 서적 1950
[43] 서적 1982
[44] 서적 1982
[45] 서적 2018
[46] 서적 1982
[47] 서적 1982
[48] 서적 1982
[49] 뉴스 The 100 best novels: No 1 – The Pilgrim's Progress by John Bunyan (1678) http://www.theguardi[...] 2021-12-17
[50] 뉴스 The Pilgrim's Progress: Vaughan Williams's masterpiece returns at ENO https://www.theguard[...] 2012-11-05
[51] 웹사이트 Bunyan Family Tree https://elstow.weebl[...] 2024-01-01
[52] 서적 선물 진흥
[53] 서적 5시간만에 읽는 재미있는 교회사 작은 행복
[54] 문서 영국 성공회 39개조 신조
[55]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56] 서적 종교개혁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